서울시, 2033년 온실가스 ‘2005년 절반 수준’ 감축
페이지 정보
작성자 행복한 댓글 0건 조회 10회 작성일 24-05-10 15:16본문
20년 전 5234만t달해…10년간 2567만t으로 줄여야건물, 노후도 따라 대책 마련·총량제 2026년 민간 확대신재생에너지 보급 늘리고 버스 등 친환경 차량 전환도
서울시가 20년 전 5234만t에 달했던 시내 온실가스 배출량을 앞으로 10년간 해당 규모의 절반 수준까지 줄인다. 이를 위해 지열·수열 등 신재생에너지 도심 냉난방을 늘리고, 온실가스 배출 비중이 가장 높은 건물은 노후도에 따라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한 서울시는 건축물·교통수단에 대해 강도 높은 온실가스 배출 관리를 하는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을 6일 발표했다. 탄소중립기본법(제11조)에 따라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향후 10년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정책 등이 담긴 법정계획이다.
서울시는 2021년 C40 도시기후리더십그룹에서 승인받은 ‘2005년 대비 2030년 40%, 2040년 70% 배출량 감축’ 계획을 바탕으로 2033년까지 절반 수준으로 줄이는 목표를 설정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에서 배출된 인스타 한국인 팔로워 온실가스는 2005년 5234만t 규모였다. 이를 2033년 2567만t까지 줄인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건물은 노후도에 따라 나눠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건축물은 서울 전체 온실가스의 67%를 배출한다.
공공 신축 건물은 제로에너지건물(ZEB) 인증 의무를 현재 에너지 자립률 20% 이상(ZEB 5등급)에서 2030년 40% 이상(4등급), 2050년 60% 이상(3등급)으로 높인다. 또 서울시 녹색건축물 설계기준 개정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설치 의무화 비율도 주거·비주거 모두 규모별로 2027년까지 0.5%씩 올릴 방침이다. 준공 30년이 되지 않은 건물은 올해 4월부터 소유주가 에너지 사용량을 확인하고 이를 공개하는 신고·등급제 관리를 강화한다.
건물 유형별 표준 배출량을 부여해 관리하는 ‘온실가스 총량제’도 공공부문에서 올해 도입해 2026년 민간건물로 전면 확대한다. 공공은 연면적 1000㎡ 이상, 비주거는 연면적 3000㎡ 이상 건물이 대상이다. 총허용량과 5년 단위 목표를 부여해 2050년까지 87% 감축을 목표로 한다.
준공 30년이 넘은 노후화 건물은 민간 소유의 경우 에너지 효율 개선에 필요한 자금을 장기 무이자 융자로 지원해 단열창호·단열재·고효율 기자재 인증제품 교체 등을 유도한다.
온실가스 배출량의 18%를 차지하는 교통 부문에선 친환경 차량을 늘리고 자가용 운행 수요를 관리하기로 했다.
주행거리가 긴 버스·택시, 주거지역의 배달 이륜차·화물차, 어린이 통학버스 등 총 27만9000대를 2033년까지 친환경 차량으로 전환한다. 내년부터 4등급 차량은 서울 도심 녹색교통지역에서, 5등급 차량은 서울 전역에서 운행이 제한된다. 4등급 차량은 2030년 서울 전역에서 다닐 수 없다.
건물이 밀집된 도심에 적합한 지열·수열·태양광 등 청정·신재생에너지 보급도 늘린다. 이를 통해 지난해 1GW 수준이었던 서울의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을 2033년 3.3GW까지 3배 이상으로 키운다.
여장권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건물·자동차 분야의 에코마일리지 등 시민 참여 방식도 늘려 탄소중립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금요일인 10일은 전국이 대체로 맑겠다고 기상청이 예보했다.
아침 기온이 10도 이하로 떨어져 쌀쌀한 곳도 있겠으나 낮 기온은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25도 안팎으로 올라 개인 체감에 따라 더운 날씨로 느낄 수 있겠다. 낮 최고기온은 21∼28도로 예보됐다.
낮과 밤의 기온 차가 15∼20도가량으로 매우 크겠다.
이날 오전 5시 기온은 서울 12.9도, 인천 12.9도, 수원 11.2도, 춘천 9.2도, 강릉 19.6도, 청주 12.6도, 대전 10.1도, 전주 11.0도, 광주 11.4도, 제주 13.0도, 대구 11.0도, 부산 16.6도, 울산 15.5도, 창원 13.1도 등이다.
미세먼지 농도는 원활한 대기 확산으로 전국이 ‘좋음’ 수준을 보이겠다.
바다의 물결은 동해 앞바다에서 0.5∼1.5m, 서해 앞바다에서 0.5∼2.0m, 남해 앞바다에서 0.5∼1.0m로 일겠다. 안쪽 먼바다(해안선에서 약 200㎞ 내의 먼바다)의 파고는 동해 0.5∼2.0m, 서해 0.5∼3.0m, 남해 0.5∼1.5m로 예상된다.
알리익스프레스·테무 등 중국계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공세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올 1분기 쿠팡이 적자 전환한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 뉴욕증시 상장사인 쿠팡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4000만달러(약 531억원·분기 평균 환율 1328.45원 기준)로 지난해 같은 기간(1억677만달러)보다 61% 감소했다고 8일 밝혔다.
분기 영업이익이 감소한 것은 2022년 3분기의 사상 첫 분기 흑자 전환 이후 처음이다.
당기순손익은 지난해 1분기 9085만달러(약 1160억원) 흑자에서 올해 1분기 2400만달러(약 319억원) 적자로 전환했다.
2022년 3분기부터 작년 4분기까지 이어진 순이익 흑자 행진에 제동이 걸린 것이다.
매출은 71억1400만달러(9조4505억원)로 28% 늘었다. 사상 첫 9조원대 분기 매출 기록이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핵심 사업인 프로덕트 커머스(로켓배송·로켓프레시·마켓플레이스·로켓그로스) 매출은 64억9400만달러(약 8조6269억원)로 20% 증가했다.
올해 처음 실적에 반영된 명품 플랫폼 파페치와 쿠팡이츠·대만 사업 등 성장사업 매출은 6억2000만달러(약 823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억4200만달러·약 1813억원)의 4.5배로 늘었다. 이는 2억8800만달러(약 3825억원)에 달하는 파페치 매출 합산 효과다.
미국 월가에서는 1분기 쿠팡 실적을 ‘어닝 쇼크’(실적 충격)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이 때문에 뉴욕증시 장 마감 후 이뤄진 실적 발표 직후 쿠팡 주가는 시간외거래에서 6∼7% 하락하기도 했다.
서울시가 20년 전 5234만t에 달했던 시내 온실가스 배출량을 앞으로 10년간 해당 규모의 절반 수준까지 줄인다. 이를 위해 지열·수열 등 신재생에너지 도심 냉난방을 늘리고, 온실가스 배출 비중이 가장 높은 건물은 노후도에 따라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한 서울시는 건축물·교통수단에 대해 강도 높은 온실가스 배출 관리를 하는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을 6일 발표했다. 탄소중립기본법(제11조)에 따라 중장기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향후 10년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정책 등이 담긴 법정계획이다.
서울시는 2021년 C40 도시기후리더십그룹에서 승인받은 ‘2005년 대비 2030년 40%, 2040년 70% 배출량 감축’ 계획을 바탕으로 2033년까지 절반 수준으로 줄이는 목표를 설정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에서 배출된 인스타 한국인 팔로워 온실가스는 2005년 5234만t 규모였다. 이를 2033년 2567만t까지 줄인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건물은 노후도에 따라 나눠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건축물은 서울 전체 온실가스의 67%를 배출한다.
공공 신축 건물은 제로에너지건물(ZEB) 인증 의무를 현재 에너지 자립률 20% 이상(ZEB 5등급)에서 2030년 40% 이상(4등급), 2050년 60% 이상(3등급)으로 높인다. 또 서울시 녹색건축물 설계기준 개정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설치 의무화 비율도 주거·비주거 모두 규모별로 2027년까지 0.5%씩 올릴 방침이다. 준공 30년이 되지 않은 건물은 올해 4월부터 소유주가 에너지 사용량을 확인하고 이를 공개하는 신고·등급제 관리를 강화한다.
건물 유형별 표준 배출량을 부여해 관리하는 ‘온실가스 총량제’도 공공부문에서 올해 도입해 2026년 민간건물로 전면 확대한다. 공공은 연면적 1000㎡ 이상, 비주거는 연면적 3000㎡ 이상 건물이 대상이다. 총허용량과 5년 단위 목표를 부여해 2050년까지 87% 감축을 목표로 한다.
준공 30년이 넘은 노후화 건물은 민간 소유의 경우 에너지 효율 개선에 필요한 자금을 장기 무이자 융자로 지원해 단열창호·단열재·고효율 기자재 인증제품 교체 등을 유도한다.
온실가스 배출량의 18%를 차지하는 교통 부문에선 친환경 차량을 늘리고 자가용 운행 수요를 관리하기로 했다.
주행거리가 긴 버스·택시, 주거지역의 배달 이륜차·화물차, 어린이 통학버스 등 총 27만9000대를 2033년까지 친환경 차량으로 전환한다. 내년부터 4등급 차량은 서울 도심 녹색교통지역에서, 5등급 차량은 서울 전역에서 운행이 제한된다. 4등급 차량은 2030년 서울 전역에서 다닐 수 없다.
건물이 밀집된 도심에 적합한 지열·수열·태양광 등 청정·신재생에너지 보급도 늘린다. 이를 통해 지난해 1GW 수준이었던 서울의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을 2033년 3.3GW까지 3배 이상으로 키운다.
여장권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건물·자동차 분야의 에코마일리지 등 시민 참여 방식도 늘려 탄소중립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금요일인 10일은 전국이 대체로 맑겠다고 기상청이 예보했다.
아침 기온이 10도 이하로 떨어져 쌀쌀한 곳도 있겠으나 낮 기온은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25도 안팎으로 올라 개인 체감에 따라 더운 날씨로 느낄 수 있겠다. 낮 최고기온은 21∼28도로 예보됐다.
낮과 밤의 기온 차가 15∼20도가량으로 매우 크겠다.
이날 오전 5시 기온은 서울 12.9도, 인천 12.9도, 수원 11.2도, 춘천 9.2도, 강릉 19.6도, 청주 12.6도, 대전 10.1도, 전주 11.0도, 광주 11.4도, 제주 13.0도, 대구 11.0도, 부산 16.6도, 울산 15.5도, 창원 13.1도 등이다.
미세먼지 농도는 원활한 대기 확산으로 전국이 ‘좋음’ 수준을 보이겠다.
바다의 물결은 동해 앞바다에서 0.5∼1.5m, 서해 앞바다에서 0.5∼2.0m, 남해 앞바다에서 0.5∼1.0m로 일겠다. 안쪽 먼바다(해안선에서 약 200㎞ 내의 먼바다)의 파고는 동해 0.5∼2.0m, 서해 0.5∼3.0m, 남해 0.5∼1.5m로 예상된다.
알리익스프레스·테무 등 중국계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공세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올 1분기 쿠팡이 적자 전환한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 뉴욕증시 상장사인 쿠팡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4000만달러(약 531억원·분기 평균 환율 1328.45원 기준)로 지난해 같은 기간(1억677만달러)보다 61% 감소했다고 8일 밝혔다.
분기 영업이익이 감소한 것은 2022년 3분기의 사상 첫 분기 흑자 전환 이후 처음이다.
당기순손익은 지난해 1분기 9085만달러(약 1160억원) 흑자에서 올해 1분기 2400만달러(약 319억원) 적자로 전환했다.
2022년 3분기부터 작년 4분기까지 이어진 순이익 흑자 행진에 제동이 걸린 것이다.
매출은 71억1400만달러(9조4505억원)로 28% 늘었다. 사상 첫 9조원대 분기 매출 기록이다.
사업 부문별로 보면 핵심 사업인 프로덕트 커머스(로켓배송·로켓프레시·마켓플레이스·로켓그로스) 매출은 64억9400만달러(약 8조6269억원)로 20% 증가했다.
올해 처음 실적에 반영된 명품 플랫폼 파페치와 쿠팡이츠·대만 사업 등 성장사업 매출은 6억2000만달러(약 823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억4200만달러·약 1813억원)의 4.5배로 늘었다. 이는 2억8800만달러(약 3825억원)에 달하는 파페치 매출 합산 효과다.
미국 월가에서는 1분기 쿠팡 실적을 ‘어닝 쇼크’(실적 충격)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이 때문에 뉴욕증시 장 마감 후 이뤄진 실적 발표 직후 쿠팡 주가는 시간외거래에서 6∼7% 하락하기도 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