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수화상병 전국으로 확산세…지자체·농가, 4년 전 악몽 떠올라 비상
페이지 정보
작성자 행복한 댓글 0건 조회 15회 작성일 24-05-24 02:51본문
뚜렷한 치료 방법이 없는 과수화상병이 전국 곳곳에서 확산하면서 과수 농가와 지자체들에 비상이 걸렸다.
23일 농촌진흥청과 각 지자체에 따르면 지난 13일 충북 충주 사과 과수원 1곳(0.4㏊)과 충남 천안 배 과수원 1곳(0.5㏊)에서 올해 처음 확인된 과수화상병이 빠른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현재까지 열흘 동안에만 충북 21곳, 충남·경기·전북 각 3곳에서 과수화상병이 추가 발생해 피해 농가는 모두 32곳으로 늘었다.
과수화상병은 과일나무 잎·줄기·꽃·열매 등이 마치 불에 타 화상을 입은 듯한 증세를 보이다가 고사하는 세균성 병해다. 주로 사과와 배, 복숭아, 모과나무 등 장미과 나무에서 많이 발생한다. 한 번 감염되면 과수원을 폐원해야 할 정도로 피해가 심각해 과수 농가에는 공포의 대상이다.
올해 가장 먼저 피해가 확산되고 있는 충북도는 비상 대응에 나섰다. 충북도 농업기술원은 과수화상병 발생 과수원에 대해 출입 제한조치를 내리고, 감염나무 제거와 생석회 살포, 매몰 처리 등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발생농가의 바이러스 유입 경로에 대한 역학조사를 진행하고, 인접 시·군에서의 예찰을 강화하고 있다.
충남 지자체들도 분주하다. 홍성군은 다음달까지를 ‘과수화상병 예방 집중기간’으로 정하고, 홍성군농업기술센터를 통해 지역 전체 과수 농가를 예찰하기로 했다. 예산군농업기술센터도 지난 15일부터 과수화상병 대책상황실 운영에 들어갔으며, 현재 사과와 배 재배 농가에 방제 약제를 공급하고 있다.
지자체와 과수 농가들은 역대 과수화상병 피해가 가장 컸던 2020년과 같은 상황이 올해 재현되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2020년에는 전국 15개 시·군 744곳 농가에서 과수화상병이 발생해 394㏊에 걸친 과수 피해가 발생했다.
농진청도 올해 인스타 좋아요 늘리기 1~4월에 2020년과 유사한 기상 조건이 형성돼 과수화상병 발생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과수화상병이 계속 확산된다면 과일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장바구니 물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인스타 좋아요 늘리기
농진청 관계자는 과수화상병은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올해 1월부터 지난달 20일까지 평균기온이 6.2도로 평년보다 2도 높고, 강수량은 평년보다 91.5㎜ 많았다며 관련 농가들은 확산 방지에 힘을 보태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23일 농촌진흥청과 각 지자체에 따르면 지난 13일 충북 충주 사과 과수원 1곳(0.4㏊)과 충남 천안 배 과수원 1곳(0.5㏊)에서 올해 처음 확인된 과수화상병이 빠른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현재까지 열흘 동안에만 충북 21곳, 충남·경기·전북 각 3곳에서 과수화상병이 추가 발생해 피해 농가는 모두 32곳으로 늘었다.
과수화상병은 과일나무 잎·줄기·꽃·열매 등이 마치 불에 타 화상을 입은 듯한 증세를 보이다가 고사하는 세균성 병해다. 주로 사과와 배, 복숭아, 모과나무 등 장미과 나무에서 많이 발생한다. 한 번 감염되면 과수원을 폐원해야 할 정도로 피해가 심각해 과수 농가에는 공포의 대상이다.
올해 가장 먼저 피해가 확산되고 있는 충북도는 비상 대응에 나섰다. 충북도 농업기술원은 과수화상병 발생 과수원에 대해 출입 제한조치를 내리고, 감염나무 제거와 생석회 살포, 매몰 처리 등의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발생농가의 바이러스 유입 경로에 대한 역학조사를 진행하고, 인접 시·군에서의 예찰을 강화하고 있다.
충남 지자체들도 분주하다. 홍성군은 다음달까지를 ‘과수화상병 예방 집중기간’으로 정하고, 홍성군농업기술센터를 통해 지역 전체 과수 농가를 예찰하기로 했다. 예산군농업기술센터도 지난 15일부터 과수화상병 대책상황실 운영에 들어갔으며, 현재 사과와 배 재배 농가에 방제 약제를 공급하고 있다.
지자체와 과수 농가들은 역대 과수화상병 피해가 가장 컸던 2020년과 같은 상황이 올해 재현되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2020년에는 전국 15개 시·군 744곳 농가에서 과수화상병이 발생해 394㏊에 걸친 과수 피해가 발생했다.
농진청도 올해 인스타 좋아요 늘리기 1~4월에 2020년과 유사한 기상 조건이 형성돼 과수화상병 발생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과수화상병이 계속 확산된다면 과일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장바구니 물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인스타 좋아요 늘리기
농진청 관계자는 과수화상병은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올해 1월부터 지난달 20일까지 평균기온이 6.2도로 평년보다 2도 높고, 강수량은 평년보다 91.5㎜ 많았다며 관련 농가들은 확산 방지에 힘을 보태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 이전글네이버 이해진 “지역의 문화·환경적 맥락 이해하는 다양한 AI 나와야” 24.05.24
- 다음글‘이태원 참사 부실 대응’ 김광호 전 서울경찰청장 중징계 24.05.2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