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길 옆 사진관] 세종대왕 탄신일에 열린 외국인 받아쓰기 대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행복한 댓글 0건 조회 24회 작성일 24-05-21 06:44본문
세종대왕 탄신일인 15일 서울 종로구 국립민속박물관에서 2024 외국인 받아쓰기 대회가 열렸다. 참가자들은 아나운서가 읽어주는 문장을 세 번 듣고 맞춤법과 띄어쓰기를 지켜 바르게 써야 한다. 46개국 92명의 외국인이 참여해 받아쓰기 실력을 겨뤘다.
‘대한민국은 사게저리 있는 나라입니다’, 인스타 좋아요 구매 ‘바람이 푼다’, ‘빤짝빤짝’ 등 오답을 써낸 참가자들은 쓰고 있던 모자를 벗으며 아쉬워했다. 한 참가자는 ‘한글은 세종대왕이 만든 글자입니다’ 문제를 풀면서 익숙한 듯 ‘세종대왕님’이라고 썼다가 정답을 고치기도 했다.
참가자들의 한국어 실력도 다양했다. 첫 번째 문제부터 탈락한 참가자들이 있는가 하면, 제일 좋아하는 단어로 ‘균형’을 꼽은 한 참가자는 모두가 삶의 균형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것 같다고 말해 심사위원들의 탄성을 자아냈다. 마지막까지 남은 참가자는 상금 300만 원을 받는다.
‘앉아서 종묘를 보다’…내일부터 망묘루 특별개방
문화재가 아니라 ‘국가유산’입니다
만학도 학생들 ‘선생님께 하트’
‘대한민국은 사게저리 있는 나라입니다’, 인스타 좋아요 구매 ‘바람이 푼다’, ‘빤짝빤짝’ 등 오답을 써낸 참가자들은 쓰고 있던 모자를 벗으며 아쉬워했다. 한 참가자는 ‘한글은 세종대왕이 만든 글자입니다’ 문제를 풀면서 익숙한 듯 ‘세종대왕님’이라고 썼다가 정답을 고치기도 했다.
참가자들의 한국어 실력도 다양했다. 첫 번째 문제부터 탈락한 참가자들이 있는가 하면, 제일 좋아하는 단어로 ‘균형’을 꼽은 한 참가자는 모두가 삶의 균형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것 같다고 말해 심사위원들의 탄성을 자아냈다. 마지막까지 남은 참가자는 상금 300만 원을 받는다.
‘앉아서 종묘를 보다’…내일부터 망묘루 특별개방
문화재가 아니라 ‘국가유산’입니다
만학도 학생들 ‘선생님께 하트’
- 이전글인류가 달 위를 걸을 때…무인선 보내겠다는, 한국 24.05.21
- 다음글[속보]개혁신당 새 대표에 ‘천아용인’ 허은아 선출···득표율 38.38% 24.05.2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