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끼임· 전복 등 농기계 사고 빈번···안전 수칙 지켜야 > 갤러리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갤러리

옷끼임· 전복 등 농기계 사고 빈번···안전 수칙 지켜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행복한 댓글 0건 조회 11회 작성일 24-05-25 13:27

본문

모내기와 씨앗 파종 등 농사일로 바쁜 5월은 농기계 사고가 빈번한 시기이기도 하다. 행정안전부는 22일 농번기를 맞아 경운기와 트랙터 등 농기계 사용 시 안전사고 예방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행안부 재난연감에 따르면 최근 3년(2020~2022년) 동안 총 3729건의 농기계 사고가 발생해 229명이 숨지고 2482명이 다쳤다. 특히 농번기인 5월에 발생한 사고는 453건으로, 수확기인 10월(477건) 다음으로 발생 건수가 많다.
주요 사고 원인을 보면 농기계 작업 중 끼임이 1321건(35%)으로 가장 많다. 경운기 등의 농기계가 뒤집히거나 넘어지는 전복·전도가 1042건(28%), 교통사고가 731건(20%), 낙상·추락이 278건(7%)이다.
농기계 사고를 예방하려면 작업할 때 소매나 옷자락 등이 농기계에 말려들거나 감겨 인스타 팔로워 끼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농기계 점검 전에는 먼저 시동을 끄거나 전원을 차단해야 한다.
농기계로 좁은 농로와 경사로 등을 이동할 때는 진입 전 미리 인스타 팔로워 속도를 줄이고, 길 가장자리에 보호 난간이 없거나 풀이 무성해 도로 상태를 알 수 없는 곳은 미리 살피고 안쪽으로 다녀야 한다.
신호가 없는 교차로에서는 속도를 낮춰 일시 정지하고 전후·좌우의 교통상황을 살핀 후 통과한다. 야간 운행 시에는 농기계 뒷면에 야광 반사판 같은 등화장치를 붙이고, 흙이나 이물질로 가려지지 않도록 한다.
박명균 행안부 예방정책국장은 농번기를 맞아 농기계 사고의 위험이 높은 요즘, 농기계를 사용하기 전에 꼼꼼히 점검하고 농기계 작업을 할 때는 숙련자일지라도 항상 안전에 주의하여야 한다라고 말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 게시물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474
어제
1,152
최대
2,948
전체
427,310

그누보드5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