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원·검찰·경찰 수십명 개인정보 온라인 노출…경찰 내사
페이지 정보
작성자 행복한 댓글 0건 조회 7회 작성일 24-06-22 21:18본문
법원과 검찰청, 경찰청에 소속된 수십명의 개인정보가 온라인상에 공개돼 경찰이 입건 전 조사(내사)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과는 이 사건과 관련해 지난달부터 내사 중이라고 20일 밝혔다. 경찰은 구체적인 범죄 혐의점을 확인하면 정식 수사로 전환한다.
해당 게시물은 지난 3월 ‘워페어’(Warfare)란 계정명을 사용하는 인물이 해커들이 주로 이용하는 해외 사이트에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법원과 검찰청, 경찰청 소속 40명의 이름과 내부망 계정 및 비밀번호로 추정되는 정보가 포함됐다. 피해자 중에는 고위 법관 1명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4월에는 같은 계정명으로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직원들로 추정되는 인물 수십명의 이름, 계정, 비밀번호가 인스타 팔로우 구매 담긴 글도 올라왔다. 해당 게시자는 해킹을 통해 이런 정보를 얻었다고 주장하면서 기억하라, 북한이 낫다는 취지의 글을 남겼다.
경찰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북한과의 관련성은 확인되지 않았고 법원과 경찰청 등의 내부망이 해킹된 사실도 없는 것으로 파악했다며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수사 중이라고 말했다.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과는 이 사건과 관련해 지난달부터 내사 중이라고 20일 밝혔다. 경찰은 구체적인 범죄 혐의점을 확인하면 정식 수사로 전환한다.
해당 게시물은 지난 3월 ‘워페어’(Warfare)란 계정명을 사용하는 인물이 해커들이 주로 이용하는 해외 사이트에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법원과 검찰청, 경찰청 소속 40명의 이름과 내부망 계정 및 비밀번호로 추정되는 정보가 포함됐다. 피해자 중에는 고위 법관 1명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4월에는 같은 계정명으로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 직원들로 추정되는 인물 수십명의 이름, 계정, 비밀번호가 인스타 팔로우 구매 담긴 글도 올라왔다. 해당 게시자는 해킹을 통해 이런 정보를 얻었다고 주장하면서 기억하라, 북한이 낫다는 취지의 글을 남겼다.
경찰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북한과의 관련성은 확인되지 않았고 법원과 경찰청 등의 내부망이 해킹된 사실도 없는 것으로 파악했다며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수사 중이라고 말했다.
- 이전글‘박정희 동상’ 대구에 이어 경북 안동에도 들어서나…민간단체 “국민성금으로 세우겠다” 24.06.22
- 다음글[단독]정부, 석유공사 ‘동해 심해 탐사’에 작년에만 100억 넘게 썼다 24.06.2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