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공직도 ‘고령화’…10년간 50세 이상 공무원 비율 5.7%p 상승 > 갤러리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갤러리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공직도 ‘고령화’…10년간 50세 이상 공무원 비율 5.7%p 상승

페이지 정보

작성자 행복한 댓글 0건 조회 7회 작성일 24-08-20 17:23

본문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인구 고령화 추세를 따라 공무원 사회도 노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15일 양부남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인사혁신처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10년간(2014~2023년) 행정부 소속 일반직 국가공무원의 연령대별 현원에 따르면 50세 이상은 2014년 3만5385명으로 전체의 23.1%를 차지했으나 2023년에는 5만438명으로 28.8%로 늘었다.
같은 기간 부처 공무원들(일반직 국가공무원)의 전체 현원은 15만3239명에서 17만5222명으로 14.3%(2만1983명) 증가했다.
50대가 차지하는 비율은 지난 10년간 꾸준히 늘어났지만 허리 역할을 하는 30~40대 공무원이 차지하는 비율은 줄어들었다.
30대 일반직 국가공무원의 수는 2014년 4만9616명(32.4%)에서 2023년 4만6175명(26.4%)로 절대적인 숫자와 비율이 모두 줄었다.
40대의 경우 2014년 6만1431명에서 2023년 6만2418명으로 인원 수는 소폭 늘었으나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40.1%에서 35.6%로 줄었다.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2019년까지만 해도 전체 현원 가운데 30대 비율은 27.5%로 50세 이상(25.7%)보다 높았지만, 2020년 30대 26.4%, 50세 이상 26.8%로 추세가 역전됐다.
20대의 경우 2014년 6807명(4.4%)에서 2023년 1만6191명(9.2%)으로 절대적인 수와 비율이 증가했다. 하지만 여전히 모든 연령대 가운데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저연차 공무원 이탈은 2019년 6663명에서 지난해 1만3321명으로 5년 간 2배 이상 늘었다. ‘보상은 적고 일은 힘들다’는 인식 등이 공직을 떠나게 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자영업자들이 배달플랫폼 배달의민족이 최근 배달 수수료를 인상하자 매장과 배달의 판매가격에 차등을 두는 집단행동에 나서기로 했다. 일부 프랜차이즈 점주들은 본사에 가격 이원화를 요구하고 있고, 본사에서 배달비 인상을 이유로 가격을 일괄 인상한 경우도 있다. 배달플랫폼의 수수료 인상이 촉발한 가격 차등화에 따라 외식 물가 상승 압력도 커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공정한플랫폼을위한사장모임 등은 오는 22일부터 소속 자영업자들과 함께 배달 음식 가격과 매장 가격을 차등 적용하겠다고 18일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밝혔다. 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자영업자는 약 650명 규모다. 전체 자영업자 숫자와 비교하면 규모가 적지만 이를 계기로 매장과 배달 가격 차등화가 보편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일부 음식점은 매장과 배달 가격을 달리 적용하고 있다.
김영명 공정한플랫폼을위한사장모임 대표는 이날 통화에서 가격 인상은 배달앱의 불공정 행위에 따른 불가피한 대응이라며 모임에 소속된 대부분 자영업자가 참가할 것으로 보이고, 자영업자 카페에서도 관련 글에 댓글이 수백개 달린 걸 보면 실제 참가 규모는 더 클 것고 했다.
이들은 ‘배민’ 등에선 가격 차등화를 실시하지만 일단 배달 수수료가 저렴한 지역공공배달앱 등에는 기존 가격을 유지하기로 했다.
배달 플랫폼 가운데 ‘배민’은 매장 가격과 배달 가격을 같도록 요구한다. 배민은 매장과 배달 가격이 같을 경우 ‘인증 뱃지’를 주기도 한다. 자영업자들은 배달 수수료율이 기존 6.8%에서 9.8%로 오르면 매장과 배달 가격을 기존과 똑같이 맞추기가 어렵다고 주장한다. 김 대표는 그간 배달플랫폼 지출은 고정비 영역이었는데 배민이 정률형 수수료 정책을 고집하면서 지출 유형이 변동비로 바뀌었다면서 수수료 부담이 커져 이대로는 사업 유지가 어렵다는 공감대가 자영업자들 사이에 형성돼 있다고 했다.
본사에 가격 이원화를 요구하는 곳도 있다. 전국맘스터치가맹점주협의회는 지난달 매장 가격과 배달 가격에 차등을 둘 것 요구하는 내용증명을 본사 대표에 발송했다. 해당 내용증명 발송을 놓고 한 찬반투표에서 점주 296명 중 280명이 찬성했다. 황성구 전국맘스터치가맹점주협의회 회장은 플랫폼 수수료가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5% 정도라며 배달 가격과 매장 가격을 같게 하면 사실상 수익을 창출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말했다. 맘스터치는 점주들의 의견을 검토해 차등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배달 서비스 비용 상승을 이유로 아예 제품 가격을 올린 본사도 있다. 롯데리아는 이달부터 배달 서비스 부대비용 증가 등 원가상승을 이유로 버거류 및 디저트류 가격을 일괄적으로 평균 3.3% 인상했다. 파파이스 코리아도 지난 4월 배달 메뉴의 경우 매장가보다 평균 약 5% 높은 가격을 차등 적용했다.
점점 배달시장이 커지는 상황에서 이처럼 배달 수수료 인상이 불러일으킨 가격 이원화는 외식 물가도 끌어올릴 가능성이 높다. 현재까지 배달 비용 인상이 가져오는 물가 상승 압력은 정확히 측정되진 않았지만 통계청이 실험적으로 작성한 지난해 12월 기준 ‘외식배달비지수’는 전년동월대비 4.3% 상승했다. 올해 기준으로 작성하면 이 수치는 더 오를 것으로 보인다. 지난 7월 외식물가도 1년 전보다 2.9% 올라 소비자물가상승률(2.6%)보다 높았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 게시물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접속자집계

오늘
1,178
어제
1,930
최대
2,948
전체
457,538

그누보드5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