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세상]폐배터리 재활용 보다 쉽게
페이지 정보
작성자 행복한 댓글 0건 조회 56회 작성일 24-04-08 00:01본문
일본의 쓰레기 제로 마을 ‘가미카쓰’에 다녀온 후 일회용 건전지를 ‘손절’하고 죄다 충전식으로 바꿨다. 48종으로 재활용 분리배출을 하는 가미카쓰에선 품목마다 플러스, 마이너스로 회계 감사 결과를 써놓는다. 48종 중 가장 돈 많이 드는 재활용 제품은 건전지로, 1㎏을 재활용할 때마다 원료 판매 수익을 고려해도 1000원이나 마이너스였다.
전지를 재활용하지 않고 폐기하면 중금속 오염은 물론 새 전지에 사용될 금속을 캐내면서 엄청난 에너지 소비와 생태계 파괴가 일어난다. 이에 취미이자 취향이 쓰레기인 ‘쓰레기 덕후’들은 국내 전지 재활용을 살펴보려 폐건전지 투어에 나섰다. 2013년까지만 해도 국내산 폐전지를 중국에 보내야 했으나, 이후 폐전지는 국내에서 재활용되고 그 재료도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다. 동네마다 폐건전지 수거함이 설치되고 지자체별로 전지를 따로 모아 재활용 공장에 보내는 체계가 생겼기 때문이다. 폐전지만 따로 수거해 물량을 확보하지 않으면 국내 공장에 납품할 수 없다. 이제 폐전지 재활용은 우리 손에 달려 있다. 나 혼자 실천해봤자 뭔 소용이냐 한탄 말고 그 시간에 동네 폐전지 수거함 위치를 찾아보자.
그런데 몰라서 폐전지를 쓰레기통에 넣거나 플라스틱으로 분리배출하는 경우도 많다. 건전지 포장지엔 재활용을 표시해야 하지만 정작 전지엔 재활용 표시를 하지 않아도 된다. 특히 보조 배터리처럼 건전지와 다르게 생긴 경우 폐건전지함에 넣어도 되는지 헷갈리고, 움직이는 장난감이나 전자담배 등 소형 전자기기에 배터리가 내장된 경우 겉에서는 전지가 보이지도 않고 따로 전지가 분리되지도 않는다. 모두 폐건전지함에 넣거나 전자제품으로 배출하면 재활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모든 배터리와 배터리가 내장된 일체형 전자기기에 전지 분리배출 표시가 필요하다. 일본에선 재활용 표시는 물론 니켈카드뮴 전지는 연두색, 리튬2차전지는 하늘색, 납전지는 회색 등 재질에 따라 색상을 달리 표시한다. 선별장에서 좀 더 쉽게 분류해 재활용이 잘되게 하기 위해서다.
요즘 가장 큰 폐전지 문제는 휴대폰, 소형 전자기기, 이동장치에 사용되는 충전식 리튬2차전지다. 현재 이 전지는 생산자가 재활용을 책임지는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 약간의 충격에도 스파크가 튀는 리튬전지 특성상 잘 처리되지 않으면 매립지나 플라스틱 재활용 공장에서 화재가 날 수 있다. 급증하는 소형 가전과 일인용 이동식 장치에 많이 사용되지만 화재 위험성이 높은 리튬2차전지는 정작 생산자가 재활용을 할 의무가 없다.
나무가 성장을 멈추는 까닭
얼마나 나빠져야 기후선거 될까
기후악당 정치를 위한 변론
끝으로 휴대전화 같은 소형 전자기기는 배터리가 분리되는 탈·부착식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전 세계에서 가장 앞선 자원순환 관련 법으로 개정한 유럽연합에선 최근 휴대전화 배터리를 탈·부착식으로 의무화하는 법을 통과시켰다. 쉽게 배터리를 분리하고 분리배출 표시도 잘 보이게 표시된다면 더 많은 배터리가 재활용될 것이다. 인스타 좋아요 늘리기 이에 더해 유럽연합에선 일정 비율 이상 재활용된 금속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전지 재활용 공정에서 나온 철 스크랩은 고철로, 망간 파우더는 아연 제련과정에, 금속 스크랩은 구리와 은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저절로 재활용되는 것은 아니고 개인의 실천과 제도적 뒷받침이 있어야 가능하다.
전지를 재활용하지 않고 폐기하면 중금속 오염은 물론 새 전지에 사용될 금속을 캐내면서 엄청난 에너지 소비와 생태계 파괴가 일어난다. 이에 취미이자 취향이 쓰레기인 ‘쓰레기 덕후’들은 국내 전지 재활용을 살펴보려 폐건전지 투어에 나섰다. 2013년까지만 해도 국내산 폐전지를 중국에 보내야 했으나, 이후 폐전지는 국내에서 재활용되고 그 재료도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다. 동네마다 폐건전지 수거함이 설치되고 지자체별로 전지를 따로 모아 재활용 공장에 보내는 체계가 생겼기 때문이다. 폐전지만 따로 수거해 물량을 확보하지 않으면 국내 공장에 납품할 수 없다. 이제 폐전지 재활용은 우리 손에 달려 있다. 나 혼자 실천해봤자 뭔 소용이냐 한탄 말고 그 시간에 동네 폐전지 수거함 위치를 찾아보자.
그런데 몰라서 폐전지를 쓰레기통에 넣거나 플라스틱으로 분리배출하는 경우도 많다. 건전지 포장지엔 재활용을 표시해야 하지만 정작 전지엔 재활용 표시를 하지 않아도 된다. 특히 보조 배터리처럼 건전지와 다르게 생긴 경우 폐건전지함에 넣어도 되는지 헷갈리고, 움직이는 장난감이나 전자담배 등 소형 전자기기에 배터리가 내장된 경우 겉에서는 전지가 보이지도 않고 따로 전지가 분리되지도 않는다. 모두 폐건전지함에 넣거나 전자제품으로 배출하면 재활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모든 배터리와 배터리가 내장된 일체형 전자기기에 전지 분리배출 표시가 필요하다. 일본에선 재활용 표시는 물론 니켈카드뮴 전지는 연두색, 리튬2차전지는 하늘색, 납전지는 회색 등 재질에 따라 색상을 달리 표시한다. 선별장에서 좀 더 쉽게 분류해 재활용이 잘되게 하기 위해서다.
요즘 가장 큰 폐전지 문제는 휴대폰, 소형 전자기기, 이동장치에 사용되는 충전식 리튬2차전지다. 현재 이 전지는 생산자가 재활용을 책임지는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 약간의 충격에도 스파크가 튀는 리튬전지 특성상 잘 처리되지 않으면 매립지나 플라스틱 재활용 공장에서 화재가 날 수 있다. 급증하는 소형 가전과 일인용 이동식 장치에 많이 사용되지만 화재 위험성이 높은 리튬2차전지는 정작 생산자가 재활용을 할 의무가 없다.
나무가 성장을 멈추는 까닭
얼마나 나빠져야 기후선거 될까
기후악당 정치를 위한 변론
끝으로 휴대전화 같은 소형 전자기기는 배터리가 분리되는 탈·부착식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전 세계에서 가장 앞선 자원순환 관련 법으로 개정한 유럽연합에선 최근 휴대전화 배터리를 탈·부착식으로 의무화하는 법을 통과시켰다. 쉽게 배터리를 분리하고 분리배출 표시도 잘 보이게 표시된다면 더 많은 배터리가 재활용될 것이다. 인스타 좋아요 늘리기 이에 더해 유럽연합에선 일정 비율 이상 재활용된 금속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전지 재활용 공정에서 나온 철 스크랩은 고철로, 망간 파우더는 아연 제련과정에, 금속 스크랩은 구리와 은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저절로 재활용되는 것은 아니고 개인의 실천과 제도적 뒷받침이 있어야 가능하다.
- 이전글첫날 사전투표율 오후 1시 기준 8%···지난 총선보다 2%p↑ 24.04.08
- 다음글이스라엘군 철수한 알시파 병원···폐허와 시신만 남았다 24.04.0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