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승우의 풀뿌리]장을 안 보는 사람들의 정치
페이지 정보
작성자 행복한 댓글 0건 조회 140회 작성일 24-03-12 06:11본문
며칠 전 장을 보러 가서 오이를 집었다가 가격을 보고 그냥 내려놓았다. 달랑 오이 두 개의 가격이 4000원을 넘겼고 애호박 가격도 비슷했다. 과일은 집지도 못하고 가격표만 훑고 지나갔다. 농촌에 사는지라 어지간하면 농산물 가격을 따지지 않는 편인데 지금 가격은 마음의 선을 넘었다. 농산물만 그럴까, 라면이나 과자, 옷과 신발 같은 공산품 가격도 많이 올랐다. 예전에는 인스타 팔로워 구매 만원권 몇장 들고 장을 봤는데 이젠 5만원권 들고도 마음이 불안하다.
평균자산 34억 의원들이 서민 대변?
당해 소비자물가지수를 전년도 물가지수와 비교한 소비자물가상승률을 보면 2021년 2.5%, 2022년 5.1%, 2023년 3.6%로 물가는 계속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그중에서 서민생활과 밀접한 식료품과 수도, 전기 및 연료, 음식 및 숙박비, 교통비의 증가율이 높다. 소비자물가 조사대상 품목들 중에서 자주 구입하는 140여개 생필품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생활물가상승률도 소비자물가상승률과 마찬가지로 2012년 이후 안정적으로 유지되다가 2022년 6.0%까지 올랐고 2023년에도 3.9%를 기록했다. 계절의 영향을 받는 농산물이나 국제유가 변동의 영향을 받는 석유류를 제외한 물가를 나타내는 근원인플레이션율도 2000년대 들어 2% 안팎으로 유지되다 2022년 이후 4%대로 높아졌다. 즉 어떤 기준으로 따져도 물가는 오르고 있고 그만큼 서민들의 생활도 어려워지고 있다.
그런데 서민을 대변하겠다는 정치인들은 물가를 모른다. 직접 장을 볼 가능성이 낮으니 물가에 민감할 리가 없다. 물가를 모르는 정치인들의 관심은 누가 어느 선거구를 맡을 것인가에만 쏠렸고, 언론을 장식하는 정치언어는 친윤·친명·친문, 주류·비주류로 줄 세우기와 편 가르기에 몰두하고 있다. 이게 무슨 민주주의 국가의 정치인가.
작년에 공개된 제21대 국회의원들의 평균 재산이 무려 34억원이다. 개인별로 차이가 있겠지만 평균 재산만 따지면 한국의 상위 1%보다 더 작은 비중의 사람들이 서민의 대표를 자임하는 셈이다. 상식적으로 생각할 때 이들이 누구의 의견을 대변할까? 우리는 이런 사람들에게 정치를 맡기면서 어떤 정치를 기대하고 있나?
새로운 정치를 하겠다고 나선 사람들도 하나같이 학벌 좋고 집안 좋고 전문직이고 시장에 잘 안 갈 것 같은 이들이다. 마치 동문회나 사교클럽처럼 비슷한 구성의 정치인들이 시민의 마음을 읽으며 정치의 다양성을 살릴 수 있을까? 시민들은 왜 자신과 거리가 먼 사람들에게 권력을 넘겨주고서 좋은 정치를 기대할까? 통제할 수 없는 거리의 사람들에게 권력을 주고 민주주의를 기대하는 것만큼 어리석은 일은 없다.
물가 파악하는 정치가 진짜 정치
중대한 국가 사안을 다루는 국회의원에게 물가는 사소한 주제일까? 아니다, 물가는 하찮은 사안이 아니다. 기후위기부터 국제유가, 환율, 전쟁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변동, 국내외 생산현황 파악 등 종합적인 안목이 필요한 문제다. 물가를 논하고 다룰 줄 아는 정치인이라면 민심도 얻고 국정도 능히 운영할 만한 사람이다. 어쩌면 지금의 위기는 물가에 가장 둔감한 직종인 법조계 출신이 대통령이고 국회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사실과 무관하지 않다.
만일 정치인들이 시장을 자주 다닌다면 언론이 다루는 내용은 상당히 달라졌을 것이다. 선거의 구호도 시민의 뜻을 인스타 팔로워 구매 받들겠다는 식상한 이야기 말고 시민들의 삶을 어떤 지점에서 어떻게 바꾸겠다는 구체적인 이야기가 될 것이다. 정치가 일상에 들어온다면 시민들의 삶도 달라진다.
유가족 요구에 귀 기울여야 하는 이유
왜 국가는 외할아버지를 살해했나?
지방재정 대란과 절반의 분권
다음달이 선거이니 이제 정치인들이 시장에 자주 등장할 것이다. 그들은 가족이나 선거운동원들을 데리고 시장에서 명함을 돌리고 악수를 하며 자신을 홍보하는 데만 힘쓸 것이다. 그러나 이제는 시민들이 좀 물어보고 따져보자. 그들이 물가를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지, 어떤 대책을 세우고 있는지, 기후위기와 전쟁처럼 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국제적인 사안을 다룰 시각은 있는지 확인해봐야 한다.
옛날부터 시장은 물건을 사고파는 곳인 동시에 정치 논쟁이 벌어지는 장이었고, 3·1운동의 만세 소리도 장날에 울려 퍼졌다. 때로는 장날에 모인 사람들이 뜻을 합쳐 관아를 습격해 부패한 관리를 소탕하기도 했다. 기대감 없는 선거라고 냉소만 할 수는 없지 않은가.
평균자산 34억 의원들이 서민 대변?
당해 소비자물가지수를 전년도 물가지수와 비교한 소비자물가상승률을 보면 2021년 2.5%, 2022년 5.1%, 2023년 3.6%로 물가는 계속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그중에서 서민생활과 밀접한 식료품과 수도, 전기 및 연료, 음식 및 숙박비, 교통비의 증가율이 높다. 소비자물가 조사대상 품목들 중에서 자주 구입하는 140여개 생필품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생활물가상승률도 소비자물가상승률과 마찬가지로 2012년 이후 안정적으로 유지되다가 2022년 6.0%까지 올랐고 2023년에도 3.9%를 기록했다. 계절의 영향을 받는 농산물이나 국제유가 변동의 영향을 받는 석유류를 제외한 물가를 나타내는 근원인플레이션율도 2000년대 들어 2% 안팎으로 유지되다 2022년 이후 4%대로 높아졌다. 즉 어떤 기준으로 따져도 물가는 오르고 있고 그만큼 서민들의 생활도 어려워지고 있다.
그런데 서민을 대변하겠다는 정치인들은 물가를 모른다. 직접 장을 볼 가능성이 낮으니 물가에 민감할 리가 없다. 물가를 모르는 정치인들의 관심은 누가 어느 선거구를 맡을 것인가에만 쏠렸고, 언론을 장식하는 정치언어는 친윤·친명·친문, 주류·비주류로 줄 세우기와 편 가르기에 몰두하고 있다. 이게 무슨 민주주의 국가의 정치인가.
작년에 공개된 제21대 국회의원들의 평균 재산이 무려 34억원이다. 개인별로 차이가 있겠지만 평균 재산만 따지면 한국의 상위 1%보다 더 작은 비중의 사람들이 서민의 대표를 자임하는 셈이다. 상식적으로 생각할 때 이들이 누구의 의견을 대변할까? 우리는 이런 사람들에게 정치를 맡기면서 어떤 정치를 기대하고 있나?
새로운 정치를 하겠다고 나선 사람들도 하나같이 학벌 좋고 집안 좋고 전문직이고 시장에 잘 안 갈 것 같은 이들이다. 마치 동문회나 사교클럽처럼 비슷한 구성의 정치인들이 시민의 마음을 읽으며 정치의 다양성을 살릴 수 있을까? 시민들은 왜 자신과 거리가 먼 사람들에게 권력을 넘겨주고서 좋은 정치를 기대할까? 통제할 수 없는 거리의 사람들에게 권력을 주고 민주주의를 기대하는 것만큼 어리석은 일은 없다.
물가 파악하는 정치가 진짜 정치
중대한 국가 사안을 다루는 국회의원에게 물가는 사소한 주제일까? 아니다, 물가는 하찮은 사안이 아니다. 기후위기부터 국제유가, 환율, 전쟁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변동, 국내외 생산현황 파악 등 종합적인 안목이 필요한 문제다. 물가를 논하고 다룰 줄 아는 정치인이라면 민심도 얻고 국정도 능히 운영할 만한 사람이다. 어쩌면 지금의 위기는 물가에 가장 둔감한 직종인 법조계 출신이 대통령이고 국회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사실과 무관하지 않다.
만일 정치인들이 시장을 자주 다닌다면 언론이 다루는 내용은 상당히 달라졌을 것이다. 선거의 구호도 시민의 뜻을 인스타 팔로워 구매 받들겠다는 식상한 이야기 말고 시민들의 삶을 어떤 지점에서 어떻게 바꾸겠다는 구체적인 이야기가 될 것이다. 정치가 일상에 들어온다면 시민들의 삶도 달라진다.
유가족 요구에 귀 기울여야 하는 이유
왜 국가는 외할아버지를 살해했나?
지방재정 대란과 절반의 분권
다음달이 선거이니 이제 정치인들이 시장에 자주 등장할 것이다. 그들은 가족이나 선거운동원들을 데리고 시장에서 명함을 돌리고 악수를 하며 자신을 홍보하는 데만 힘쓸 것이다. 그러나 이제는 시민들이 좀 물어보고 따져보자. 그들이 물가를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지, 어떤 대책을 세우고 있는지, 기후위기와 전쟁처럼 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국제적인 사안을 다룰 시각은 있는지 확인해봐야 한다.
옛날부터 시장은 물건을 사고파는 곳인 동시에 정치 논쟁이 벌어지는 장이었고, 3·1운동의 만세 소리도 장날에 울려 퍼졌다. 때로는 장날에 모인 사람들이 뜻을 합쳐 관아를 습격해 부패한 관리를 소탕하기도 했다. 기대감 없는 선거라고 냉소만 할 수는 없지 않은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