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려지는 식품 부산물의 새로운 활용, ‘푸드 업사이클링’
페이지 정보
작성자 행복한 댓글 0건 조회 10회 작성일 24-06-09 10:31본문
최근 온난화를 동반하는 기후변화가 심화하면서 환경보호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환경을 보전하는 방법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있는데, 바로 ‘업사이클링(upcycling)’이라는 개념이다.
업사이클링은 ‘업그레이드’와 ‘리사이클링’의 합성어다. 버려지는 폐기물을 가치 상향식 재활용을 통해 기존보다 더 좋은 품질, 더 높은 수준의 제품으로 재탄생시키는 것을 말한다.
버려지는 제품을 단순히 재활용하는 데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가치를 높인 제품으로 탈바꿈시키는 데에 업사이클링의 핵심이 있다. 리사이클링은 불용품이나 폐기물을 재생해 이용하는 것이지만 업사이클링은 이보다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새 활용’을 뜻한다.
업사이클링 가운데에서도 식품 제조·폐기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이나 등외품 등을 활용해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고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ʻ푸드 업사이클링(식품 새 활용)ʼ이라고 한다.
푸드 업사이클링이 주목되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맛과 영양에는 문제가 없지만 상품 가치가 떨어져 폐기되는 식품이나 생산·유통·소비 과정에서 남거나 버려지는 부산물 등을 포함한 음식물 쓰레기양이 전 세계 음식 생산량의 3분의 1인 13억t에 달하기 때문이다.
지속 가능한 푸드시스템을 구축하고 실천하는 것이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과제가 됐으며, 업사이클 식품도 그중 하나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업사이클 식품의 원재료로는 맥주를 만들고 나온 보리 부산물이나 각종 곡물, 과일, 채소 및 생선 껍질 등이 있다.
국내에는 맥주, 식혜 부산물로 만든 에너지바와 병아리콩 껍질을 활용한 스낵과 같은 예가 있다. 국외에는 맥주 부산물을 활용한 쿠키 반죽, 닭고기와 맥주 및 채소 부산물로 만든 고단백 스낵 등이 있다. 단백질 파우더, 건강주스, 건조 과자 등도 업사이클링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전 세계 푸드 업사이클링 산업의 규모는 2022년 기준 530억달러(약 68조원)로 연 평균 4.6%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2032년에는 833억달러(약 107조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업사이클 식품 제조에는 식품의 부산물이나 상품의 가치가 낮은 농산물을 활용하기 때문에 원료를 처리하는 새로운 공정이나 기술개발이 필수적이다.
현재까지는 업체에서 부산물에 함유된 성분을 추출, 농축, 발효, 건조 등의 기술로 처리하고 있지만 소비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신제품 적합성 및 안전성 평가는 부족하다. 향후 식품시장에서 업사이클 식품이 일반 식품의 대체재로 등장해 경쟁하기 위해서는 기술개발 투자와 안전성이 확보돼야만 한다.
최근 사회적 가치를 지향하는 MZ세대의 등장과 환경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대기업들은 업사이클 식품업체와의 협업을 통해 새 활용 프로젝트 등 다양한 정책과 지원을 이어오고 있다.
여기에 더해 업사이클 식품의 확대 및 활성화를 위해서는 소비자의 인식 변화도 시급하다. 소비자는 자원순환을 위해 폐기물 감축을 실천하는 주체이면서 업사이클 식품시장이 조성되도록 하는 주체이다. 따라서 푸드 업사이클링을 통해 지속 가능한 환경을 만들기 위한 자원순환 인식을 제고할 수 있도록 소비자를 위한 정책적 논의도 필요할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4일 9·19 남북군사합의 전체의 효력을 정지하기로 한 국무회의 의결을 재가했다. 이로써 2018년 이후 중단된 대북 확성기 선전방송의 족쇄가 풀렸다. 국방부는 군사합의로 제약받은 군사분계선과 서북도서 일대 모든 군사활동을 정상 복원하겠다고 밝혔다. ‘남북 간 상호 신뢰가 회복될 때까지’라는 인스타 한국인 팔로워 전제가 붙긴 했지만, 북한의 오물 풍선 살포를 빌미로 남북 충돌을 제어할 안전핀을 아예 뽑아버린 것은 명백한 과잉대응이다.
군사합의 효력 정지 조치는 북한이 지난달 28일 밤부터 휴지·쓰레기가 든 오물 풍선 수천개를 날리고, 서해 북방한계선(NLL) 일대에서 위성항법장치 교란 공격을 해온 데 대한 대응이다. 하지만 엄밀히 따지면, 국내 탈북민단체가 지난달 10일 북한에 30만장의 대북전단을 띄워 보내며 먼저 북한을 자극한 것이 사태의 발단이다. 물론 대북전단과 ‘오물 풍선’을 동렬에 놓기는 어렵다. 게다가 풍선으로 인해 차량 파손 등 민간 피해가 발생한 것도 묵과하기 어렵다.
그러나 북한이 지난 2일 오물 풍선 살포를 멈추겠다고 밝혀 사태가 고비를 넘긴 상황에서 굳이 군사합의 정지라는 초강수를 들고나온 것은 아무리 봐도 지나쳤다. 이참에 눈엣가시 같던 군사합의를 폐기하겠다는 속내가 읽힌다. 윤석열 정부가 정치적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남북 긴장을 일부러 키우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도 지우기 힘들다.
북한 도발에 대응하는 다른 수단도 있다. 정부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국 자격으로 이달 중순 북한인권 문제를 다룰 공식회의를 열겠다고 한다. 국제사회가 북한 도발에 엄중히 경고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그러나 군사적 충돌을 불사하는 행위는 경제에도 큰 피해를 미치는 자해수단임을 명심해야 한다.
당장은 6일로 예고된 북한인권운동단체의 대북전단 추가 살포가 사태를 어떤 방향으로 몰아갈지 우려가 크다. 그걸 빌미로 북한이 풍선 살포에 나서면 군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하는 ‘치고받기’가 군사 충돌로 이어지지 않으리란 보장이 없다. 북한이 확성기를 겨눠 포사격이라도 한다면 접경지역 주민들이 위험에 처할 수 있다. 정부는 대북전단 살포 계획에 대해 ‘표현의 자유’를 침해할 수 없다며 방관하고 있지만, 특정인만을 위한 ‘표현의 자유’가 국민의 안전보다 우위에 있지는 않다. 정부는 경직된 태도를 버리고, 대북전단 살포를 적극적으로 막아야 한다.
업사이클링은 ‘업그레이드’와 ‘리사이클링’의 합성어다. 버려지는 폐기물을 가치 상향식 재활용을 통해 기존보다 더 좋은 품질, 더 높은 수준의 제품으로 재탄생시키는 것을 말한다.
버려지는 제품을 단순히 재활용하는 데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가치를 높인 제품으로 탈바꿈시키는 데에 업사이클링의 핵심이 있다. 리사이클링은 불용품이나 폐기물을 재생해 이용하는 것이지만 업사이클링은 이보다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새 활용’을 뜻한다.
업사이클링 가운데에서도 식품 제조·폐기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이나 등외품 등을 활용해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고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ʻ푸드 업사이클링(식품 새 활용)ʼ이라고 한다.
푸드 업사이클링이 주목되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맛과 영양에는 문제가 없지만 상품 가치가 떨어져 폐기되는 식품이나 생산·유통·소비 과정에서 남거나 버려지는 부산물 등을 포함한 음식물 쓰레기양이 전 세계 음식 생산량의 3분의 1인 13억t에 달하기 때문이다.
지속 가능한 푸드시스템을 구축하고 실천하는 것이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과제가 됐으며, 업사이클 식품도 그중 하나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업사이클 식품의 원재료로는 맥주를 만들고 나온 보리 부산물이나 각종 곡물, 과일, 채소 및 생선 껍질 등이 있다.
국내에는 맥주, 식혜 부산물로 만든 에너지바와 병아리콩 껍질을 활용한 스낵과 같은 예가 있다. 국외에는 맥주 부산물을 활용한 쿠키 반죽, 닭고기와 맥주 및 채소 부산물로 만든 고단백 스낵 등이 있다. 단백질 파우더, 건강주스, 건조 과자 등도 업사이클링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전 세계 푸드 업사이클링 산업의 규모는 2022년 기준 530억달러(약 68조원)로 연 평균 4.6%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2032년에는 833억달러(약 107조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업사이클 식품 제조에는 식품의 부산물이나 상품의 가치가 낮은 농산물을 활용하기 때문에 원료를 처리하는 새로운 공정이나 기술개발이 필수적이다.
현재까지는 업체에서 부산물에 함유된 성분을 추출, 농축, 발효, 건조 등의 기술로 처리하고 있지만 소비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신제품 적합성 및 안전성 평가는 부족하다. 향후 식품시장에서 업사이클 식품이 일반 식품의 대체재로 등장해 경쟁하기 위해서는 기술개발 투자와 안전성이 확보돼야만 한다.
최근 사회적 가치를 지향하는 MZ세대의 등장과 환경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대기업들은 업사이클 식품업체와의 협업을 통해 새 활용 프로젝트 등 다양한 정책과 지원을 이어오고 있다.
여기에 더해 업사이클 식품의 확대 및 활성화를 위해서는 소비자의 인식 변화도 시급하다. 소비자는 자원순환을 위해 폐기물 감축을 실천하는 주체이면서 업사이클 식품시장이 조성되도록 하는 주체이다. 따라서 푸드 업사이클링을 통해 지속 가능한 환경을 만들기 위한 자원순환 인식을 제고할 수 있도록 소비자를 위한 정책적 논의도 필요할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4일 9·19 남북군사합의 전체의 효력을 정지하기로 한 국무회의 의결을 재가했다. 이로써 2018년 이후 중단된 대북 확성기 선전방송의 족쇄가 풀렸다. 국방부는 군사합의로 제약받은 군사분계선과 서북도서 일대 모든 군사활동을 정상 복원하겠다고 밝혔다. ‘남북 간 상호 신뢰가 회복될 때까지’라는 인스타 한국인 팔로워 전제가 붙긴 했지만, 북한의 오물 풍선 살포를 빌미로 남북 충돌을 제어할 안전핀을 아예 뽑아버린 것은 명백한 과잉대응이다.
군사합의 효력 정지 조치는 북한이 지난달 28일 밤부터 휴지·쓰레기가 든 오물 풍선 수천개를 날리고, 서해 북방한계선(NLL) 일대에서 위성항법장치 교란 공격을 해온 데 대한 대응이다. 하지만 엄밀히 따지면, 국내 탈북민단체가 지난달 10일 북한에 30만장의 대북전단을 띄워 보내며 먼저 북한을 자극한 것이 사태의 발단이다. 물론 대북전단과 ‘오물 풍선’을 동렬에 놓기는 어렵다. 게다가 풍선으로 인해 차량 파손 등 민간 피해가 발생한 것도 묵과하기 어렵다.
그러나 북한이 지난 2일 오물 풍선 살포를 멈추겠다고 밝혀 사태가 고비를 넘긴 상황에서 굳이 군사합의 정지라는 초강수를 들고나온 것은 아무리 봐도 지나쳤다. 이참에 눈엣가시 같던 군사합의를 폐기하겠다는 속내가 읽힌다. 윤석열 정부가 정치적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남북 긴장을 일부러 키우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도 지우기 힘들다.
북한 도발에 대응하는 다른 수단도 있다. 정부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국 자격으로 이달 중순 북한인권 문제를 다룰 공식회의를 열겠다고 한다. 국제사회가 북한 도발에 엄중히 경고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그러나 군사적 충돌을 불사하는 행위는 경제에도 큰 피해를 미치는 자해수단임을 명심해야 한다.
당장은 6일로 예고된 북한인권운동단체의 대북전단 추가 살포가 사태를 어떤 방향으로 몰아갈지 우려가 크다. 그걸 빌미로 북한이 풍선 살포에 나서면 군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하는 ‘치고받기’가 군사 충돌로 이어지지 않으리란 보장이 없다. 북한이 확성기를 겨눠 포사격이라도 한다면 접경지역 주민들이 위험에 처할 수 있다. 정부는 대북전단 살포 계획에 대해 ‘표현의 자유’를 침해할 수 없다며 방관하고 있지만, 특정인만을 위한 ‘표현의 자유’가 국민의 안전보다 우위에 있지는 않다. 정부는 경직된 태도를 버리고, 대북전단 살포를 적극적으로 막아야 한다.
- 이전글유튜브 조회수 구매 세종시 ‘행정수도’ 지위 확보 위해 세종시법 전면 개정 추진 24.06.09
- 다음글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수술대 오른 ‘종부세’…종지부? 24.06.0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