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다시 ‘동결’…미뤄진 금리 인하
페이지 정보
작성자 행복한 댓글 0건 조회 3회 작성일 24-06-16 07:25본문
미국의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예상대로 동결했다. 미국의 올해 금리 인하 전망도 기존 3회에서 1~2회로 줄어 한국의 금리 인하 시점 역시 불투명해졌다.
미 연준은 12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뒤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7월까지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한 연준은 같은 해 9월 이후 7회 연속 금리를 동결했다. 한국(연 3.50%)과의 금리 격차도 역대 최대인 2.0%포인트로 유지됐다.
이번 FOMC 회의의 관심사는 향후 금리 수준을 예상할 수 있는 점도표였다. 이날 공개된 점도표에서는 올해 말 금리 전망치 인스타 좋아요 늘리기 중간값이 5.10%로 나왔다. 보통 연준이 한 번에 0.25%포인트씩 금리를 움직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연내 금리 인하 횟수가 1~2회로 예상되는 것이다. 이는 지난 3월 공개된 점도표(연 3회)보다 인하 횟수가 줄어든 것이다.
당초 7월로 관측됐던 미국 금리 인하 시점도 11~12월로 늦춰지는 분위기다. 올해 FOMC 회의는 7·9·11·12월 4차례 남아 있다. 하반기로 갈수록 미국 대선 일정과 맞물리면서 불확실성은 더 커진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물가 문제에 있어 우리는 상당한 진전을 이루고 있다며 그러나 단편적인 수치만으로 지나치게 고무돼선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은 더욱 고민이 깊어졌다. 고금리 기조가 길어지면서 내수 부진이 이어지고 자영업 위기가 지속되고 있다. 5월 취업자 수 증가폭이 둔화되는 등 고용시장도 좋지 않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을 비롯한 국내외 연구기관에선 내수 부진을 우려하며 금리 인하 주장이 잇따르고 있다.
그러나 아직 물가가 안정적인 수준인 2%대로 내려오지 않았고, 자본 유출 등이 우려돼 한국이 미국보다 선제적으로 금리를 내리기는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한은은 (연준 결과가) 시장 기대보다 다소 매파적(통화긴축 선호)이라고 평가했다.
증권가에서는 올해 한은의 금리 인하가 한 차례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기태의 신영증권 연구원은 미 FOMC보다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유의미하게 둔화된 점에 더 무게를 두고 9월과 12월 인하를 예상한다며 한국의 경우 한·미 금리차 축소 차원에서 10월에 연 1회 인하를 예상한다고 말했다. FOMC 회의 직전 발표된 미국의 5월 CPI는 전년 동월 대비 3.3% 상승해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다.
이날 금융시장은 연준 발표보다 물가지표 둔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했다.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13일 코스피지수도 전날보다 26.72포인트(0.98%) 오른 2754.89에 마감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2.3원 내린 1373.9원에 거래를 마쳤다.
미 연준은 12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뒤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7월까지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한 연준은 같은 해 9월 이후 7회 연속 금리를 동결했다. 한국(연 3.50%)과의 금리 격차도 역대 최대인 2.0%포인트로 유지됐다.
이번 FOMC 회의의 관심사는 향후 금리 수준을 예상할 수 있는 점도표였다. 이날 공개된 점도표에서는 올해 말 금리 전망치 인스타 좋아요 늘리기 중간값이 5.10%로 나왔다. 보통 연준이 한 번에 0.25%포인트씩 금리를 움직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연내 금리 인하 횟수가 1~2회로 예상되는 것이다. 이는 지난 3월 공개된 점도표(연 3회)보다 인하 횟수가 줄어든 것이다.
당초 7월로 관측됐던 미국 금리 인하 시점도 11~12월로 늦춰지는 분위기다. 올해 FOMC 회의는 7·9·11·12월 4차례 남아 있다. 하반기로 갈수록 미국 대선 일정과 맞물리면서 불확실성은 더 커진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물가 문제에 있어 우리는 상당한 진전을 이루고 있다며 그러나 단편적인 수치만으로 지나치게 고무돼선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은 더욱 고민이 깊어졌다. 고금리 기조가 길어지면서 내수 부진이 이어지고 자영업 위기가 지속되고 있다. 5월 취업자 수 증가폭이 둔화되는 등 고용시장도 좋지 않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을 비롯한 국내외 연구기관에선 내수 부진을 우려하며 금리 인하 주장이 잇따르고 있다.
그러나 아직 물가가 안정적인 수준인 2%대로 내려오지 않았고, 자본 유출 등이 우려돼 한국이 미국보다 선제적으로 금리를 내리기는 어렵다는 게 중론이다. 한은은 (연준 결과가) 시장 기대보다 다소 매파적(통화긴축 선호)이라고 평가했다.
증권가에서는 올해 한은의 금리 인하가 한 차례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기태의 신영증권 연구원은 미 FOMC보다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유의미하게 둔화된 점에 더 무게를 두고 9월과 12월 인하를 예상한다며 한국의 경우 한·미 금리차 축소 차원에서 10월에 연 1회 인하를 예상한다고 말했다. FOMC 회의 직전 발표된 미국의 5월 CPI는 전년 동월 대비 3.3% 상승해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다.
이날 금융시장은 연준 발표보다 물가지표 둔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했다.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13일 코스피지수도 전날보다 26.72포인트(0.98%) 오른 2754.89에 마감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2.3원 내린 1373.9원에 거래를 마쳤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