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총선 ‘기후공약’ 제시한 후보 24%뿐···기후공약 전수조사해보니
페이지 정보
작성자 행복한 댓글 0건 조회 26회 작성일 24-04-04 23:39본문
4·10 국회의원 선거에서 공약으로 기후위기 대응 정책을 제시한 후보가 24.1%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기후위기 대응에 역행하는 ‘반기후 공약’을 제시한 후보는 절반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정치바람, 기후정치시민물결, 녹색전환연구소 등 16개 단체는 4일 오전 서울 용산구 스페이스쉐어 서울역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4 총선 후보 696명 기후공약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 단체는 회견에서 254개 지역구 696명 후보자 전원의 공약을 조사한 결과 24.1%인 168명만이 기후공약을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된 선거공보 기준, 두 가지 이상 기후공약을 제시한 후보를 집계한 것이다.
이들 단체는 이번 조사의 배경으로 기후유권자는 점점 늘고 있고, 여야 모두 기후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는데 정작 기후 후보와 기후 공약이 보이지 않는다는 문제의식에서 조사를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소장은 기후공약을 내건 후보의 기준은 두 개 이상의 기후위기 대응 공약을 제시한 경우로 삼았는데, 이렇게 기준을 낮추지 않으면 ‘기후 후보’를 찾기 어려웠다면서 기후공약이 하나만 있는 경우는 (공통적인) 기후패스(교통패스) 정책인 경우가 많아 인정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지역별로는 제주 지역에서 기후위기 대응 공약을 제시한 후보자의 비율이 42.8%(후보자 7명 중 3명)로 가장 높았다. 이어 경남 40.5%(37명 중 15명), 인천 38.5%, 충남 35.5%, 광주 31.8% 순으로 나타났다. 기후 공약을 제시한 후보의 숫자로는 경기가 41명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이 31명으로 뒤를 이었다.
대전, 전북, 부산은 기후위기 대응 공약을 제시한 후보가 10명 중 1명꼴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위기 대응 공약을 제시한 후보의 비율이 가장 낮은 인스타 팔로워 곳은 대전(5.6%)이었다. 전북, 부산 등 지역도 기후 공약을 발표한 후보자가 각각 9.0%와 9.3%에 그쳤다.
정당을 기준으로 기후공약을 제시한 후보의 비율은 녹색정의당이 100%로 가장 높았고, 진보당이 48%로 뒤를 이었다. 더불어민주당 후보 245명 가운데는 95명이 기후공약을 제시해 39%의 비율을 나타냈고, 국민의힘 후보 254명 가운데는 37명(15%)만 기후위기 대응 정책을 공약에 포함시켰다.
단체들은 회견에서 원내 정당들 모두가 10대 공약으로 기후공약을 제시했음에도 지역구의 기후공약 수준은 처참한 지경이었다며 후보들 가운데는 기후위기 대응에 역행하는 공약을 제시한 경우도 많았다고 밝혔다. 실제 전체 후보들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342명이 주차장 확대를 공약했고, 196명이 인스타 팔로워 그린벨트·상수원 개발 등 규제 완화 공약을 제시했다. 47명의 후보는 공항 건설 추진을 공약했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단체들은 총선까지 남은 기간 동안 후보자들에게 실질적 기후공약을 요구하는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이 소장은 수많은 개발공약 속 기후공약을 찾는 것이 숨은 그림 찾기처럼 어려웠다며 공보물과 선관위 누리집 등을 통해 유권자들이 공약을 살펴보고 판단할 수 있는 시간이 열흘 정도에 불과한 것은 너무 짧다고 지적했다.
기후정치바람, 기후정치시민물결, 녹색전환연구소 등 16개 단체는 4일 오전 서울 용산구 스페이스쉐어 서울역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4 총선 후보 696명 기후공약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 단체는 회견에서 254개 지역구 696명 후보자 전원의 공약을 조사한 결과 24.1%인 168명만이 기후공약을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된 선거공보 기준, 두 가지 이상 기후공약을 제시한 후보를 집계한 것이다.
이들 단체는 이번 조사의 배경으로 기후유권자는 점점 늘고 있고, 여야 모두 기후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는데 정작 기후 후보와 기후 공약이 보이지 않는다는 문제의식에서 조사를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소장은 기후공약을 내건 후보의 기준은 두 개 이상의 기후위기 대응 공약을 제시한 경우로 삼았는데, 이렇게 기준을 낮추지 않으면 ‘기후 후보’를 찾기 어려웠다면서 기후공약이 하나만 있는 경우는 (공통적인) 기후패스(교통패스) 정책인 경우가 많아 인정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지역별로는 제주 지역에서 기후위기 대응 공약을 제시한 후보자의 비율이 42.8%(후보자 7명 중 3명)로 가장 높았다. 이어 경남 40.5%(37명 중 15명), 인천 38.5%, 충남 35.5%, 광주 31.8% 순으로 나타났다. 기후 공약을 제시한 후보의 숫자로는 경기가 41명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이 31명으로 뒤를 이었다.
대전, 전북, 부산은 기후위기 대응 공약을 제시한 후보가 10명 중 1명꼴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위기 대응 공약을 제시한 후보의 비율이 가장 낮은 인스타 팔로워 곳은 대전(5.6%)이었다. 전북, 부산 등 지역도 기후 공약을 발표한 후보자가 각각 9.0%와 9.3%에 그쳤다.
정당을 기준으로 기후공약을 제시한 후보의 비율은 녹색정의당이 100%로 가장 높았고, 진보당이 48%로 뒤를 이었다. 더불어민주당 후보 245명 가운데는 95명이 기후공약을 제시해 39%의 비율을 나타냈고, 국민의힘 후보 254명 가운데는 37명(15%)만 기후위기 대응 정책을 공약에 포함시켰다.
단체들은 회견에서 원내 정당들 모두가 10대 공약으로 기후공약을 제시했음에도 지역구의 기후공약 수준은 처참한 지경이었다며 후보들 가운데는 기후위기 대응에 역행하는 공약을 제시한 경우도 많았다고 밝혔다. 실제 전체 후보들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342명이 주차장 확대를 공약했고, 196명이 인스타 팔로워 그린벨트·상수원 개발 등 규제 완화 공약을 제시했다. 47명의 후보는 공항 건설 추진을 공약했다.
이번 조사에 참여한 단체들은 총선까지 남은 기간 동안 후보자들에게 실질적 기후공약을 요구하는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이 소장은 수많은 개발공약 속 기후공약을 찾는 것이 숨은 그림 찾기처럼 어려웠다며 공보물과 선관위 누리집 등을 통해 유권자들이 공약을 살펴보고 판단할 수 있는 시간이 열흘 정도에 불과한 것은 너무 짧다고 지적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