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막 오른 ‘이재용 항소심’…검찰·삼성 시작부터 ‘팽팽’
페이지 정보
작성자 행복한 댓글 0건 조회 48회 작성일 24-05-31 21:46본문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사진)의 ‘삼성그룹 경영권 불법승계’ 사건에 대한 항소심 재판이 27일 시작됐다. 검찰은 이 회장에 대해 1심에 내지 않았던 2000건이 넘는 증거를 새로 제출하고 증인도 11명 신청했다. 이 회장 측은 이에 반박할 증인을 신청하겠다고 맞서면서 총력전을 예고했다.
서울고법 형사13부(재판장 백강진)는 이날 자본시장법과 외부감사법 위반, 업무상배임 등 19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이 회장에 대한 항소심 공판준비기일을 열었다. 이 회장을 포함해 최지성 전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실장, 장충기 전 미래전략실 차장 등 전현직 임직원 13명과 삼정회계법인 대표까지 총 14명에 대한 공판준비기일도 함께 진행됐다.
공판준비는 본격적인 재판을 앞두고 사건의 쟁점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심리 순서를 정하는 절차로 피고인 출석 의무는 없다. 이 회장 등 피고인들은 모두 법정에 나오지 않았다. 지난 2월 1심에서 이 회장과 전현직 임직원들은 모두 무죄를 선고받았다.
항소심에서 주요하게 다뤄질 쟁점은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의 불법성 여부’ 판단과 이를 뒷받침하는 ‘주요 증거자료의 증거능력 인정 여부’다. 검찰은 이날 1심 재판에 내지 않았던 2000여건의 증거 목록을 제출했다. 2019년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바이오에피스 서버 압수수색에서 확보한 자료가 위법하지 않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는 자료라고 했다. 검찰은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이 이 회장의 경영권 불법 승계를 위한 것이었다고 보고 있다. 삼성 측은 1심 재판 과정에서 검찰의 해당 서버 압수수색 절차가 위법했다고 주장했고, 재판부가 이를 인정했다.
검찰은 외부감사법과 자본시장 전문가, 삼성그룹 전현직 임직원 등 11명을 증인으로 신청했다. 이 회장 등이 제일모직의 가치를 고평가하기 위해 거짓공시·분식회계를 동원했다는 외부감사법 위반 혐의와 관련해 1심보다 더 정밀한 검증을 해 보이겠다는 것이다. 이 회장 측 변호인은 검찰이 낸 증거들에 대해 출처를 명확히 해달라고 맞섰다. 증인 신청에 대해서도 이미 1심에서 증인신문이 진행된 분들이 많고 객관적인 전문가로 볼 수 있는지도 의문이라고 말했다. 재판부는 증인신문에 대한 양측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은 데다 변호인들이 검찰 측 증거를 열람·복사하는 데에도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고려해 오는 7월22일 한 차례 더 공판준비기일을 열기로 했다.
앞서 이 회장은 2015년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과정에서 최소비용으로 경영권을 안정적으로 승계하고 지배력을 강화할 목적으로 삼성그룹 미래전략실이 추진한 각종 부정거래와 시세조종, 회계부정 등에 관여한 혐의로 2020년 9월 기소됐다.
인공지능(AI) 열풍에 힘입어 국내 30대 그룹의 AI 전문 임원 수가 지난해보다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자산 상위 30대 그룹에서 올해 임원 인사가 반영된 1분기 보고서를 제출한 295개 기업의 임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AI 전문 임원 수는 총 187명이었다. 이는 지난해 1분기 89명보다 98명 증가한 수치다. 전체 임원 1만1343명의 1.6%에 해당한다.
리더스인덱스는 1분기 보고서 내 임원의 담당 업무와 이력을 바탕으로 AI 관련 부서나 업무 이력이 있는 임원을 AI 전문 임원으로 분류하고 사외이사도 포함했다.
AI 전문 임원이 1명 이상 있는 그룹은 지난해 1분기 15개 그룹에서 올해 1분기 17개 그룹으로 늘었다. 30대 그룹 중 AI 전문 임원이 가장 많은 그룹은 55명을 기록한 LG그룹이었다. 1년 전 25명과 비교해 2배 이상 늘었다. 2020년 설립된 LG AI연구원에 15명, LG전자에 19명의 AI 전문 임원이 포진했다. 또 LG CNS가 연초 이마트 디지털사업본부장으로 있던 진요한 상무를 AI 센터장으로 영입하는 등 다른 계열사에도 AI 전문 임원 20명이 있다.
SK그룹이 53명으로 뒤를 이었다. 지난해 1분기 14명에서 39명이나 늘었다. SK하이닉스가 AI 인프라 부서를 신설하면서 김주선 AI 인프라 사장 이하 24명의 임원을 배치했다. SK텔레콤의 AI 전문 임원은 22명에 이른다.
이어 KT 28명, 삼성 19명, 현대차 6명, 네이버 4명, 미래에셋·포스코·롯데·CJ 각 3명, HD현대·카카오 각 2명 순이었다. 삼성의 경우 삼성전자에 사외이사인 조혜경 한성대 AI응용학과 교수, 김대현 삼성리서치 글로벌 AI센터장, 구글 안드로이드 오토모티브 담당이었던 류경동 SAIT 부사장 등 11명이 있다.
서울고법 형사13부(재판장 백강진)는 이날 자본시장법과 외부감사법 위반, 업무상배임 등 19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이 회장에 대한 항소심 공판준비기일을 열었다. 이 회장을 포함해 최지성 전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실장, 장충기 전 미래전략실 차장 등 전현직 임직원 13명과 삼정회계법인 대표까지 총 14명에 대한 공판준비기일도 함께 진행됐다.
공판준비는 본격적인 재판을 앞두고 사건의 쟁점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심리 순서를 정하는 절차로 피고인 출석 의무는 없다. 이 회장 등 피고인들은 모두 법정에 나오지 않았다. 지난 2월 1심에서 이 회장과 전현직 임직원들은 모두 무죄를 선고받았다.
항소심에서 주요하게 다뤄질 쟁점은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의 불법성 여부’ 판단과 이를 뒷받침하는 ‘주요 증거자료의 증거능력 인정 여부’다. 검찰은 이날 1심 재판에 내지 않았던 2000여건의 증거 목록을 제출했다. 2019년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바이오에피스 서버 압수수색에서 확보한 자료가 위법하지 않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는 자료라고 했다. 검찰은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이 이 회장의 경영권 불법 승계를 위한 것이었다고 보고 있다. 삼성 측은 1심 재판 과정에서 검찰의 해당 서버 압수수색 절차가 위법했다고 주장했고, 재판부가 이를 인정했다.
검찰은 외부감사법과 자본시장 전문가, 삼성그룹 전현직 임직원 등 11명을 증인으로 신청했다. 이 회장 등이 제일모직의 가치를 고평가하기 위해 거짓공시·분식회계를 동원했다는 외부감사법 위반 혐의와 관련해 1심보다 더 정밀한 검증을 해 보이겠다는 것이다. 이 회장 측 변호인은 검찰이 낸 증거들에 대해 출처를 명확히 해달라고 맞섰다. 증인 신청에 대해서도 이미 1심에서 증인신문이 진행된 분들이 많고 객관적인 전문가로 볼 수 있는지도 의문이라고 말했다. 재판부는 증인신문에 대한 양측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은 데다 변호인들이 검찰 측 증거를 열람·복사하는 데에도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고려해 오는 7월22일 한 차례 더 공판준비기일을 열기로 했다.
앞서 이 회장은 2015년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과정에서 최소비용으로 경영권을 안정적으로 승계하고 지배력을 강화할 목적으로 삼성그룹 미래전략실이 추진한 각종 부정거래와 시세조종, 회계부정 등에 관여한 혐의로 2020년 9월 기소됐다.
인공지능(AI) 열풍에 힘입어 국내 30대 그룹의 AI 전문 임원 수가 지난해보다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자산 상위 30대 그룹에서 올해 임원 인사가 반영된 1분기 보고서를 제출한 295개 기업의 임원 현황을 분석한 결과, AI 전문 임원 수는 총 187명이었다. 이는 지난해 1분기 89명보다 98명 증가한 수치다. 전체 임원 1만1343명의 1.6%에 해당한다.
리더스인덱스는 1분기 보고서 내 임원의 담당 업무와 이력을 바탕으로 AI 관련 부서나 업무 이력이 있는 임원을 AI 전문 임원으로 분류하고 사외이사도 포함했다.
AI 전문 임원이 1명 이상 있는 그룹은 지난해 1분기 15개 그룹에서 올해 1분기 17개 그룹으로 늘었다. 30대 그룹 중 AI 전문 임원이 가장 많은 그룹은 55명을 기록한 LG그룹이었다. 1년 전 25명과 비교해 2배 이상 늘었다. 2020년 설립된 LG AI연구원에 15명, LG전자에 19명의 AI 전문 임원이 포진했다. 또 LG CNS가 연초 이마트 디지털사업본부장으로 있던 진요한 상무를 AI 센터장으로 영입하는 등 다른 계열사에도 AI 전문 임원 20명이 있다.
SK그룹이 53명으로 뒤를 이었다. 지난해 1분기 14명에서 39명이나 늘었다. SK하이닉스가 AI 인프라 부서를 신설하면서 김주선 AI 인프라 사장 이하 24명의 임원을 배치했다. SK텔레콤의 AI 전문 임원은 22명에 이른다.
이어 KT 28명, 삼성 19명, 현대차 6명, 네이버 4명, 미래에셋·포스코·롯데·CJ 각 3명, HD현대·카카오 각 2명 순이었다. 삼성의 경우 삼성전자에 사외이사인 조혜경 한성대 AI응용학과 교수, 김대현 삼성리서치 글로벌 AI센터장, 구글 안드로이드 오토모티브 담당이었던 류경동 SAIT 부사장 등 11명이 있다.
- 이전글유튜브 조회수 구매 윤 대통령 ‘거부권 무력화’ 고비 넘겼지만···‘유예된 위기’ 24.05.31
- 다음글“민생부터 챙기겠다더니···” 전세사기 피해자들, 대통령 거부권 행사에 ‘분노’ 24.05.3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